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0 Census 농업어업총조사
총조사의 이해
정의 및 목적
조사결과
조사결과 활용
우리나라의 총조사
외국의 총조사
농림어업총조사
2020 총조사 특징
2020 총조사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기간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항목
2025 1차 시험조사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기간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항목
2025 2차 시험조사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기간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항목
응답자 보호
코로나-19 및 위기상황 대응방안
인터넷 조사
인터넷 조사란?
참여안내
참여순서
참여안내
알림마당
총조사 소식
보도자료
홍보자료
자료실
조사표
조사용어
조사항목 설명
작물도감
어구와 어법
자주 하는 질문
사용자 지원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안내
뷰어프로그램
찾아오시는 길
누리집 안내지도
사이버교육
ENGLISH
사이트맵
내일의 변화는 당신의 이야기로부터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농산어촌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총조사의 이해
정의 및 목적
조사결과
조사결과 활용
우리나라의 총조사
외국의 총조사
Home
총조사의 이해
우리나라의 총조사
우리나라의 총조사
페이지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페이지 프린트
우리나라의 농림어업총조사의 연혁과 의의를 소개합니다.
농림어업총조사 연혁
우리나라는 농업총조사(1960년), 어업총조사(1970년), 임업총조사(1998년)를 각각 관련 부처에서 실시했습니다.
2000년 농업총조사와 어업총조사를 통계청으로 이관하여 농어업총조사를 실시하였고,
2005년 임업총조사를 이관하여 실시하였습니다.
2010년 3개의 총조사를 ‘농림어업총조사’로 통합하여 5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1960 농업총조사, 1970 어업총조사 : 농업, 어업총조사 이관 - 2000년
1998 임업총조사 : 임업 이관 - 2005년 / 2010년 총조사 통합 : 통계청 실시
농림어업총조사 의의
세계적인 통계조사
농림어업총조사 결과는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UN FAO)에서 주관하는 세계농업총조사(WCA, World Programme for the Census of Agriculture) 자료로 제공됩니다.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UN FAO)는 농촌 및 농업 통계 개선을 위한 글로벌 전략을 마련하고, 농업총조사를 위한 권고안(WCA)을 발표하였으며, 세계 120여개 국가에서 5~10년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FAO의 WCA(World Programme for the Census of Agriculture)는 임업 및 어업을 포괄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가기본통계조사로 보편성·완전성 확보
우리나라 모든 농림어업 가구를 대상으로 읍면동 단위까지 관련 통계를 생산하여 UN FAO 등 국제기구에 제공합니다.
지역조사(행정리)를 통해 농산어촌의 교통·문화·환경 등 인프라를 파악하여 지역 발전계획 수립에 활용합니다.
경제통계와 사회통계의 양면성 포괄
농림어업이 국내총생산에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에 불과하나, 국내외 교역에서 중요한 농림수산업의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통계이며,
총 가구 중 농림어가 비중은 5.9%로, 전통적인 농산어촌 구성원의 고령화에 의한 소멸·소규모화 등의 변화를 측정하는 사회통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