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어업 경영형태, 판매 금액, 판매처
농림어가의 경영형태와 판매 규모, 주된 판매 경로를 분석하여 농림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관련 통계조사의 모집단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농어업 고용
농어업 노동력 투입실태를 파악하여 농어업 인력수급 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생산자 조직 참여
농어업 관련 생산자 단체인 법인, 조합, 작목반 등의 활성화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농어업 관련 사업
농어가의 농어업 외 소득원 개발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전업 및 겸업
농림어업 전업 여부와 가구의 소득 중 농림어업 이외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여 전업과 1종, 2종 겸업 농림어가를 파악하고 경영 특성 분석에 이용합니다.
경영주 경력, 교육정도, 혼인상태
농림어업의 기술 숙련도와 농림어가의 특성 파악에 활용합니다.
정보화기기 보유 및 활용 용도
지식 정보화시대에 도시와 농산촌 간의 정보화 격차를 파악하고, 농림어가의 경쟁력 강화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합니다.
교통수단 보유
생활 편의시설 및 농림어업 관련 시설에의 접근성 등 농산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 분석에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