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쑥쑥 자라는 농산어촌, 당신의 응답으로부터 시작됩니다.
2025 농림어업총조사 2025 농림어업총조사에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농림어업총조사와 관련된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통계청(청장 이형일)은 5월 13일(화) 정부대전청사에서 시도 통계 책임관, 지방통계청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인구주택총조사 및 농림어업총조사 실시본부’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2025 총조사 준비에 들어갔다. 2025 총조사는 통계청이 주관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며, 조사요원 채용, 교육, 홍보, 현장 조사 등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 기본통계로서, 대한민국 영토 내 거주하는 인구ㆍ가구ㆍ주택을 조사하여, 각종 정책 수립 및 평가, 학술 연구, 기업경영 등에 활용되고, 가구 부문 표본조사의 모집단 및 표본추출틀을 제공하고 있다. 2025 농림어업총조사는 전국 모든 농림어가를 대상으로 지속 가능한 농림어업 정책 수립을 위해 기후 변화(논벼 물관리), 영농 기술 발달(스마트농업), 인구구조 변화(가구원 국적, 행정리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을 반영하여 조사한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올해 센서스 100년을 맞이하여 2025 총조사가 국가와 지역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가장 중요한 조사”임을 강조하고 “지자체와 협력하여 2개 총조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만큼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5-16□ 2020년 12월 1일 현재, 전국의 마을 수는 2015년보다 771개(2.1%) 증가한 37,563개로 읍 지역에서 758개(8.7%) 증가함 o 전국의 마을 수는 읍 지역 25.2%(9,456개), 면 지역 74.8%(28,107개) 차지 o 2020년 중위 마을 수는 2015년(24개)보다 6개 증가한 30개 □ 2020년 12월 1일 현재, 시도별 마을 수는 전남이 6,785개(18.1%)로 가장 많고, 다음은 경북 5,275개(14.0%), 전북 5,245개(14.0%) 순임 □ 우리나라 전체 마을 중 농가가 있는 마을은 35,555개(94.7%), 임가가 있는 마을은 20,887개(55.6%), 어가가 있는 마을은 4,791개(12.8%)임 o 2015년에 비해 농가가 있는 마을 642개(-1.8%) 감소, 어가가 있는 마을 400개(-7.7%) 감소하고, 임가가 있는 마을은 1,482개(7.6%) 증가함 □ 농업 경영형태별 마을을 보면, 논벼 마을이 88.7%로 가장 많고, 다음이 채소․산나물(70.2%), 식량작물(65.3%), 과수(55.2%) 순으로 나타남 □ 임업(비재배) 경영형태별 마을을 보면, 채취업 마을이 22.2%로 가장 많고, 다음이 육림업(15.3%), 양묘업(10.4%), 벌목업(4.4%) 순으로 나타남 □ 해수면 어업 경영형태별 마을의 경우 어로어업이 90.0%로 대부분의 마을에서 경영되고 있으며, 양식어업은 44.0%를 차지함
2024-02-22이형일 통계청장은 5월 13일(화) 정부대전청사에서 '2025 인구주택총조사 및 농림어업총조사 실시본부' 출범식 및 시·도 통계책임관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시도 통계책임관 회의에서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 및 농림어업총조사 종합시행계획을 설명하고, 지자체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2025-05-162025 농림어업총조사 시범예행조사 주관: 통계청 실시: 충청남도 당진시, 예산군 2024. 12.3(화).~ 12.18(수). 조사방법: 태블릿PC(전화 포함), 인터넷, 종이
2024-11-11